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입니다~!

 

요즘 여름철 더운 날씨 때문에 상온에 음식을 잠깐만 방치해놔도 금방 상해버리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 상한 냄새가 나서 바로 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원래 시큼한 향이 나는 음식의 경우는 실수로 먹어서 탈이 나는 경우도 더러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얼마 전에 상한 음식을 모르고 먹었다가 식중독으로 고생을 했었습니다.

 

오늘은 가볍게는 며칠 설사와 복통을 호소하고 심하게는 죽음에까지 이를 수 있는 여름철 불청객인 식중독의 증상과 치료방법 그리고 예방법까지 여러분께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식중독이란?

여름철인 7~8월에 더 빈번하게 발생하는 식중독은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 활발하게 증식된 살모넬라균, 황색 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균 등의 식중독균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했을 때 감염되는 병입니다. 일반적인 음식뿐 아니라 버섯 독, 복어독, 농약, 금속 화학 물질로도 감염될 수 있으며 잠복기가 짧은 것이 특징입니다.

 

식중독 증상

식중독에 감염되면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듯이 복통과 구토 그리고 설사가 동반됩니다. 구토와 설사가 지속되기 때문에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무기력감, 근육통과 함께 오한, 발열, 두통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은 여름 감기와 흡사하여 자가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병원에 가도 정확히 식중독으로 진단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이는 혈액과 대변 검사에서 검출한 오염물질과 오염 예상 식품에서 검출된 물질이 일치해야만 식중독으로 진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치료 방법

건강한 성인의 경우 수분 보충과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2~3일 정도 뒤에 자연적으로 회복됩니다. 그러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나 노약자와 어린이의 경우 자연치유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식중독에 감염 시 끓인 물에 설탕과 소금을 타서 먹거나 이온음료를 섭취하는 것도 식중독으로 인한 탈수를 에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식중독으로 인한 설사 때문에 지사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오히려 식중독 균이 장에 머무르게 만들어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하니 지사제를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식중독 예방법

식중독을 예방하는 첫 번째 방법은 음식물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입니다. 음식물은 충분히 익혀서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되도록이면 따로 보관하고 따로 조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리된 음식은 빠른 시간 내에 섭취하여야 하고 식중독 발생률이 높은 어패류 등은 무더운 여름철에 생으로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손을 자주 씻어주는 것도 식중독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손만 잘 씻어도 식중독의 70%는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외출하고 집에 들어왔을 때, 식사 전에 손을 씻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세균 번식을 막기 위해 주방 위생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여름철에는 특히 조리기구 살균소독을 주기적으로 해줘야 하며 해산물, 채소류는 흐르는 물에 꼼꼼하게 씻어주고 물도 되도록이면 끓여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염된 식자재를 둔 장소에도 세균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식자재를 잠깐 두었다고 해도 꼼꼼히 청소해주어야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댓글
-->